이명박 상금세탁기사 삭제논란
포털자료를 검색하다보면 검색어를 보게되는데요,
오늘 이명박 전 대통령이 검색어 1위를 차지해서 깜짝 놀랐습니다.
4대강의혹의 몸통임을 자진납세한 것인지 궁금해서 살펴보다가
더 놀랐죠.
주간한국에서 오늘 11일자 온라인페이지에 올렸던 기사가 주연이더군요.
농협 청와대 지점이 이명박 전 대통령의 상금세탁을 도운 정황이 드러났다고 보도했다는데,
정오를 전후해 올렸던 기사가 삭제되었다는 내용이었거든요.
그럼에도 오후 4시가 넘은 지금까지도 검색어 1위를 '이명박'이 차지하고 있더군요.
국민들 대부분이 느끼시겠지만 이명박 전 대통령 관련기사는 기분좋은 내용을 찾기 힘들죠.
이번 기사 내용도 역시 기대를 저버리지 않네요.
나, 일등했어~
주간한국의 기사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2011년 해외 원전수주 과정에서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정부로부터 받은 ‘자이드 환경상’ 상금 50만달러(한화 약 5억5000만원)를 수표로 받았으며,
해외에서 받은 금품을 신고해야 하는 공직자법을 피하기 위해 이를 농협 청와대 지점을 통해 현금화했다.
주간한국은 은행이 외화수표를 추심하기도 전에 매입한 것은,
공직자가 해외에서 일정금액 이상의 금품을 받으면 신고해야한다는 규정을 피하려는 행보로 보인다고 해석했으며,
뿐만 아니라 해당 전산기록이 2011년 4월에 일어난 ‘농협 전산사태’를 전후해 삭제됐다"는 충격적인 내용이었죠.
이어 “이런 전산기록이 돌연 종적을 감춰 더욱 문제”라면서 “금융기관은 전산 자료를 10년 동안 멸실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는 점에서 명박한 불법이므로 대통령을 위해 편법과 불법을 동원한 셈”이라고 덧붙였다고 합니다.
네이버 검색어 순위
이처럼 국민의 눈을 오염시켰고 단시간에 수천건의 댓글까지 달린 이 기사가 삭제된 것입니다.
조선닷컴에 따르면,
주간한국 관계자는 “기사와 이명박 전 대통령 측 주장 간 갭이 있어서 확인 중”이라고 답했고,
“사실 확인이 덜 된 상태에서 기사가 나갔다는 의미냐”는 물음에는
“말로 설명하기 힘든 복잡한 사정이 좀 있다”고만 답했다고 전했는데요.
사건내용을 볼 때 단순한 기사삭제로 끝날 사안이 아니라는 점에서
주간한국의 기사가 오보인지, 아닌지에 대한 명확한 발표가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사실이라면 이명박 전대통령과 관계자들의 불법행위에 대한 엄격한 처벌이 있어야하며,
반대로 오보라면 주간한국은 즉시 사과와 함께 상응하는 처벌을 받아야 합니다.
해당금융기관인 농협이 “한국일보의 오보”라며 “삭제됐다고 하는 전산기록은 남아있다”고 해명했더군요.
아울러 해명보도자료를 준비중이지만 어느 선까지 공개할지는 현재 논의중"이라고 폴리뉴스에 밝혔다네요.
그렇다면 완전히 공개하지 못할 뭔가가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사건에 대한 당사자의 분명한 입장표명이 있어야 합니다.
특히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경우, 4대강과 해외수주등에 관한 비리에 대해 신속하게 조사해야 한다는 점에서,
이번 사건부터 기사삭제로 끝날 것이 아니라 국민 의혹해소차원에서 명백하게 처리하기를 바랍니다.